재테크 하는 요다62 2023년 6월 30일, 5월 PCE 가격지수 발표와 경기침체 재부각 2023년 6월이 끝나가는 한 주입니다. 한국증시와 미국증시 등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는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전망과 관련있는 경제지표의 발표가 6월 말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6월 30일에는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5월 PCE 가격 지수에 대한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1. PCE 지수란? PCE 지수는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개인 소비 지출)의 약자입니다. 이 지수는 경제 안에서 가계의 소비 지출 총액을 나타냅니다. PCE 지수는 경기 전망과 인플레이션 측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PCE 지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 소비를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경제가 성장하면.. 2023. 6. 27. 6 월 24일 미국증시 경기침체 위험 확산 7월 금리 인상 가능성 미국 증시는 23일 투자자들이 채권시장 움직임과 시장 정보에 주목하는 등 최근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경기 둔화 가능성을 부각하며 긴축 조치를 지속하면서 하락했습니다. 6월 23인 미국증시 하락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9.28포인트(0.65%) 하락한 3만3727.43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3.56포인트(0.77%) 내린 4,348.33, 나스닥은 1.01%인 138.09포인트(1.01%) 하락한 13492.5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미국 경기침체 가능성 다시 부각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 국채 수익률 곡선 역전, 6월 미국과 유로존 제조업 구매관리자들의 PMI 동향 등을 감안할 때 사실상 전 세계 긴축 위주의 상황은 더 확실해 보입.. 2023. 6. 24. 2023년 6월 연준 금리 동결 국내주식 전망 2023년 6월 하루하루 점점 더워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매년 이맘때쯤에는 여름장마가 곧 있을거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대비없이 맞게 되는 여름 장마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름장마철의 비 피해 대비와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 경제 상황을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절이 변하기 전 피해를 예방하는 것처럼 경제 동향을 꾸준히 공부하여 투자 활동에 도움을 주는 지식을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변동성 있는 시장에서 가치 있는 투자를 실현하고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6월 15일 미국 FOMC회의 금리 동결 발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 금리를 5~5.25%로 유지하면서 매파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인플레이션.. 2023. 6. 18. 미국 3월 CPI 5% 상승 주식시장 호재? 4월도 어느덧 중순을 향해 가고 있는 오늘입니다. 매일매일 날씨가 변동성이 커서 어제는 초미세먼지 그리고 미세먼지 지수가 매우 나쁨에 바람이 많이 불었는데요 오늘은 그래도 어제보다는 다소 나아졌네요. 밖에 다닐만한 정도는 되는 것 같습니다. 미국 3월 CPI 5% 상승 미국증시 반응 4월 12일 미국에서는 3월 CPI(소비자 물가지수)가 발표되었습니다. 2월 CPI가 6%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5%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있다는 시그널을 담고 있었는데요. 시장에서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수치는 5.1% 상승으로 예상치보다 비슷하거나 오히려 예상치를 하회한 수치였습니다. 4월 12일 한국시간으로 저녁 9시 30분경에 발표된 미국 3월 CPI는 시장에서 물가가 잡히고 있다는 소식을 반영하면서 일제히 상승.. 2023. 4. 13. 삼성전자 2023년 1분기 영업이익 급감...주식을 팔아야 하나? 4월이 시작된 지도 얼마 지나지 않은 듯한데요. 벌써 4월 첫째 주도 지나고 4월 중순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봄이 올 때 시작하는 벚꽃도 활짝 피더니 어느덧 벌써 벚꽃도 지고 완연한 봄기운이 퍼지고 있는 요즘입니다. 근데 봄이 맞는지 아직은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날이 이어지기도 하는군요. 그 어느 때보다 건강에 유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 95% 급감 삼성전자가 2023년 1분기에 매출액 63조 원, 영업이익 6000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가 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 밑으로 떨어지게 된 것은 2009년 1분기 5900억 원을 기록한 이후 14년 만에 있는 일입니다. 구체적으로 이번 2023년 1분기 매출은 전년 동일 기간과 비교하면 19%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14조 1214와.. 2023. 4. 9. 미국 2월 CPI 6.0 그리고 유럽 스위스 CS 파산공포 전망은? 미국 CPI(소비자 물가지수) 6.0 그 의미는? 2023년 2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월가에 예상 수치인 6.0%로 발표되었습니다. 그리고 근원 CPI(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는 전년 동월과 비교하여 5.5% 지난 1월보다는 0.5%가 올랐습니다. 두 가지 수치가 시장 예상과 부합했습니다. 그렇다면 이것이 좋은 소식인가? 하는 것에 의문이 듭니다. 일단 근원 물가를 오르게 한 원인이 중요합니다. 주된 요인은 주택 임대료를 포함한 주거 비용으로 주거비는 미국 물가의 3분의 1을 차지합니다. 2월 주거비는 1월 대비 0.8% 상승하여 전월에 0.7% 상승보다 상승폭이 다소 커졌습니다. 주거비는 2022년 동기간과 비교하여 8.1%가 올랐습니다. 2월 CPI 발표된 직후에 뉴욕 증시는 3대 지수.. 2023. 3. 18. 미국은행 SVB(실리콘밸리 뱅크) 파산 여파는? 하루하루 봄을 맞이하고자 아침 저녁으로 일교차가 큰 날씨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 날씨의 영향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우리들을 둘러싼 시장 상황이 희뿌연 연기속에 있는 날들이 많아 보입니다. 다시말해, 투자자로서 투자를 잘하기 위해서는 많은 지혜와 노력이 어느때보다도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미국은행 SVB 파산과 그 여파 SVB(실리콘밸리 뱅크)라는 미국 16위에 해당하는 은행이 파산했습니다. 실리콘밸리는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애플, 구글 등 대부분의 대기업의 탄생한 곳이죠. SVB은행 기업 특히나 실리콘밸리의 많은 스타트업 회사에 자금을 빌려주는 것을 주로하던 은행입니다. 은행의 폭락사태가 일어나고 하루만에 초고속 파산을 했다는 것입니다. 은행이 이렇게 빠른 시간내에 파산을 한것은 유례를.. 2023. 3. 17. 미분양 10년 만에 최대, 84%는 지방에 몰렸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 수치가 10년 만에 최대인 7만 5000 가구를 넘어섰습니다. 전월과 비교했을 때 10.6%가 상승했습니다. 위에 표를 확인해 보면 2022년 7월에 3만 가구 9월에는 4만 가구 그리고 11월에는 5만 가구 12월에는 6만 가구 그리고 2023년 1월에 7만 5천 가구가 넘었습니다. 이렇게 보듯이 미분양이 상승하는 폭이 상당히 빠릅니다. 그렇다면 1월에 7만 5000 가구 미분양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하는 것이 궁금합니다. 이는 과거의 전구 미분양 주택을 보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우리가 기억하듯이 부동산 폭등 시기였던 2020년도와 2021년도에 전국에서 미분양 가구수를 보면 1만 가구 정도로 미분양 수치가 상당히 낮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1년 말부터 미분.. 2023. 3. 4.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반응형